551 0 0 40 50 0 8년전 0

(우리 것이 좋은 거시여!) 판소리 사전

(우리 것이 좋은 거시여!) 판소리 사전 * 판소리의 모든 것! <판소리> 18세기 영조 때에 이르러 숙종 때부터 대두한 평민문학이 본격적인 문학의 주류를 형성하면서부터 발생한 새로운 문학의 양식(樣式)이라 할 수 있는 판소리가 나왔다. 이 새로운 양식은 평민문학인 사설시조가 이서(吏胥)들 사이에서 일어나 창곡이 유행함에 따라 자극을 받았고, 설화나 소설을 창화하여 가창으로 생계를 삼는 유랑(流浪) 재인(才人)인 광대(廣大)들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판소리라는 말의 어의(語意)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판놀음, 즉 연희(演戱)에서 부르는 소리를 뜻한다. 따라서 판소리는 소리인 창조(唱調)와 대사인 창사(唱詞)와를 총칭하는 말로서 창사만을 가리킬 때에는 극가(劇歌)와 같은 ..
(우리 것이 좋은 거시여!) 판소리 사전

* 판소리의 모든 것!

<판소리>
18세기 영조 때에 이르러 숙종 때부터 대두한 평민문학이 본격적인 문학의 주류를 형성하면서부터 발생한 새로운 문학의 양식(樣式)이라 할 수 있는 판소리가 나왔다.

이 새로운 양식은 평민문학인 사설시조가 이서(吏胥)들 사이에서 일어나 창곡이 유행함에 따라 자극을 받았고, 설화나 소설을 창화하여 가창으로 생계를 삼는 유랑(流浪) 재인(才人)인 광대(廣大)들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판소리라는 말의 어의(語意)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판놀음, 즉 연희(演戱)에서 부르는 소리를 뜻한다.

따라서 판소리는 소리인 창조(唱調)와 대사인 창사(唱詞)와를 총칭하는 말로서 창사만을 가리킬 때에는 극가(劇歌)와 같은 것이다. 판소리는 일정한 소리와 대사로써 흔히 광대가 두서너 시간씩 혼자 온갖 몸짓을 해가면서 불렀다 한다. 이렇게 판소리는 판놀음의 한 유형으로서 궁중을 비롯해 관가나 양반의 내정(內庭), 과거 급제자의 축하연, 그리고 시골 마을이나 시장 등지에서 흥행성을 갖고 불리어져 왔다. 따라서 판소리는 양반이나 서민계급을 막론하고 민족적으로 향유되었던 창(唱)을 위주로 한 민족예술이었음을 알 수 있다.

판소리가 언제부터 불리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기록에 의하면 그 시창자(始唱者)는 숙종 말의 하한담(河漢潭)과 결성(結成)의 최선달(崔先達)이라고 한다. 추측하건대 숙종 때부터 불리던 시조나 가사가 창작보다는 가창을 위주로 해서 불리어지자 가인(歌人)들에 의해 창곡의 성행을 보게 되었고, 그 창곡은 직업적인 광대들의 참여로 오락적인 가창에서 흥행적인 가창으로 옮겨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광대들은 다시 청중에게 소설적인 흥미를 주기 위하여 민간에 널리 알려진 민족설화에서 그 소재를 구했을 것이다. 또 그들은 여기에다 해학(諧謔)과 풍자적인 주제를 담아 창곡의 기본조인 3·4조 또는 4·4조의 율조를 장단에 맞춰 부른 것이다.
* 편엮: 한국판소리연구회

<출처 및 인용>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고려-조선의 문학/조선 후기 문학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