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4 0 0 4 0 0 8년전 0

(겸재) 정선 : 관동명승 소상팔경 도첩 13 <진경 산수화 화가 거장>

(겸재) 정선 : 관동명승 소상팔경 도첩 13 ebook 환경에 최적화 할 수 있게 PDF 버전으로 제작하였습니다. PC, 테블릿, 모바일 핸드폰에서도 큰 화면으로 상세하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정선(鄭敾) 화가 - 본관은 광산(光山). - 1676(숙종 2)∼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화가. 자 원백(元伯), 호 겸재(謙齋), 겸초(兼艸), 난곡(蘭谷)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겸초(兼艸)·난곡(蘭谷). 아버지는 시익(時翊)이며, 어머니는 밀양 박씨(密陽朴氏)이다. 2남 1녀 중 맏아들이다. 그의 선세(先世)는 전라남도 광산·나주 지방에서 세거한 사대부 집안이었다. 뒤에 경기도 광주로 옮기고, 고조부 연(演) 때 서울 서쪽〔西郊〕으로 다시 옮겨 살기 시..
(겸재) 정선 : 관동명승 소상팔경 도첩 13

ebook 환경에 최적화 할 수 있게 PDF 버전으로 제작하였습니다.
PC, 테블릿, 모바일 핸드폰에서도 큰 화면으로 상세하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정선(鄭敾) 화가

- 본관은 광산(光山).
- 1676(숙종 2)∼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화가.

자 원백(元伯), 호 겸재(謙齋), 겸초(兼艸), 난곡(蘭谷)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겸초(兼艸)·난곡(蘭谷). 아버지는 시익(時翊)이며, 어머니는 밀양 박씨(密陽朴氏)이다. 2남 1녀 중 맏아들이다. 그의 선세(先世)는 전라남도 광산·나주 지방에서 세거한 사대부 집안이었다. 뒤에 경기도 광주로 옮기고, 고조부 연(演) 때 서울 서쪽〔西郊〕으로 다시 옮겨 살기 시작하였다.

정선은 선비나 직업 화가를 막론하고 크게 영향을 주어 겸재파 화법(謙齋派畫法)이라 할 수 있는 한국 실경 산수화의 흐름을 적어도 19세기 초반까지 이어가게 하였다. 이들 중에는 강희언(姜熙彦)·김윤겸(金允謙)·최북(崔北)·김응환(金應煥)·김홍도(金弘道)·정수영(鄭遂榮)·김석신(金碩臣)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그의 두 아들인 만교(萬僑)와 만수(萬遂)는 아버지의 가업을 잇지 못하고 손자인 황(榥)만이 할아버지의 화법을 이어받고 있다.
[출처 및 인용] 정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관동명승 소상팔경도첩

<목차>
망양정
수태사동구
시중대
월송정
정자연
죽서루
천물암
청간정
해산정
동정추월
산시청람
소상야우
연사모정
* 정선(鄭敾) 화가

- 본관은 광산(光山).
- 1676(숙종 2)∼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화가.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