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 탄생의 역사 (하룻밤에 읽는 역사 시간여행)
1. 도교의 성립
2. 도교 구성의 제요소
3. 도교 교단의 성립과 교리
4. 역사/교단
5. 사상/제신
6. 수행법/의례
7. 조직/성전
도교는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임에는 틀림없으나 개념화하여 설명하기에는 퍽 어려운 것이라 하겠다.
어떤 의미에서는 도교를 유교(儒敎)와 같이 중국 민족의 민족종교(民族宗敎)라고 할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만주·일본, 그리고 인도지나 반도의 베트남이나 캄보디아 등 아시아 여러 나라 민족의 신앙이나 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바 있어서, 그들의 생활이나 습관·사상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했다.
따라서 도교는 모든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또 성립의 역사적 한정성에도 불구하고 인간존재의 근원적 진실성을 어떤 의미에서 심각하게 파악하여 그 위에 조직되어 있는 교설(敎說)과 그에 따른 실수(實修)를 제창하여 믿게 하는 부동의 지위를 확립해 놓은 교조(敎祖)가 없기 때문에 어떤 특정 인물에 의하여 창시된 생생한 종교라고는 볼 수 없다. 이렇게 객관화된 일정한 체계를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주관적 면에서 중국인의 심정(心情·心性) 속에서 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중국 고대에 있어 사람들은 삼라만상(森羅萬象)의 그 어느 것에나 정령(精靈)이 있다고 믿었는데 이 단계를 애니미즘(animism)이라고 하며, 중국의 원시(原始) 신앙도 여기에서 기원(起源)하였고 정령을 귀신(鬼神)이라 하여 천신(天神)·지기(地祇)·인귀(人鬼)의 세 가지로 생각하였다(<周禮>). 이러한 생각에서 어디까지나 현실에서 시종하여 인생에 모든 것을 의탁하고 현실인생의 행복에 최고의 가치를 두어 후회하지 않는 중국인의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현실적이고 낙천적(樂天的)인 심정이란 것을 설정한 후, 그것을 가지고 도교를 설명하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일반적 심정에 깔려 있는 것은 먼저 삶(生), 그것이 기본적 전제로서 요구되고 있는 생의 욕구는 다시 끝없는 연장(延長) 욕구로 발전하는 것이며, 소위 신선사상(神仙思想)의 기본적 명제를 이룩했다.
* 바른종교연구회 편엮
<출처 및 인용>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