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4 0 0 11 99 0 7년전 0

공자 유가사상 - 제자백가의 생각 (중국사 다이제스트 1)

공자 유가사상 - 제자백가의 생각 (중국사 다이제스트 1) 孔子-공자(B.C. 551-479)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라고 하였다. 그는 노국(魯國) 사람으로 숙량흘(叔梁紇)의 아들이다. 그는 15세에 학문 탐구에 뜻을 두고 배울 점이 있는 사람이라면 귀천을 가리지 않고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다. 이처럼 노력 정진한 결과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점차 나이가 들면서 많은 제자들이 그에게 배움을 청하였다. 공자는 실천적인 교육가인 동시에 정치가이다. 그는 교육자생활 이외에 노국의 사공(司空)과 사구(司寇)라는 벼슬을 지낸 일도 있다. 그러나 뒷날 그의 정치적 이상이 실현되지 않게 되어 B.C. 497년 노나라를 떠나 위(衛)나라로 갔고, 이로부터 13년 동안 열국..
공자 유가사상 - 제자백가의 생각 (중국사 다이제스트 1)

孔子-공자(B.C. 551-479)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라고 하였다.
그는 노국(魯國) 사람으로 숙량흘(叔梁紇)의 아들이다. 그는 15세에 학문 탐구에 뜻을 두고 배울 점이 있는 사람이라면 귀천을 가리지 않고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다. 이처럼 노력 정진한 결과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점차 나이가 들면서 많은 제자들이 그에게 배움을 청하였다.

공자는 실천적인 교육가인 동시에 정치가이다. 그는 교육자생활 이외에 노국의 사공(司空)과 사구(司寇)라는 벼슬을 지낸 일도 있다.
그러나 뒷날 그의 정치적 이상이 실현되지 않게 되어 B.C. 497년 노나라를 떠나 위(衛)나라로 갔고, 이로부터 13년 동안 열국(列國)를 주유하였으나, 끝내 이상을 실현하지 못하고 노나라에 돌아와 교육에 종사하였다.

그가 일생 동안 얻은 제자는 3천여 명이나 되며, 6예(六藝)에 정통한 제자는 72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공자의 학설과 언행은 그의 제자들이 지은 <논어(論語)>에 기록되어 있다. 공자는 당시 사회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무엇보다 교육을 중시하였고, "배우는 일에 싫증내는 일 없고, 가르치는 일에 피곤할 줄 모르는(學而不厭 誨人不倦)"(<論語> 述而篇) 교육자였다. 공자는 도덕교육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공자는 문·행·충·신 4가지로써 교육한다(子以四敎 文行忠信)"(<論語> 述而篇)는 말 중 문(文)을 제외하면 모두 덕성에 관한 것이다. '문'은 시·서·예·악(詩書禮樂)등 전적(典籍)을 가르치고, '행'은 역행(力行)을 말하며, 또 '충'과 '신'은 품성의 훈련에 속한다. 공자는 지식·행위·품성의 3가지를 중시하지만, 그 중에도 품성의 훈련을 근본으로 본다.

"실천하고 남은 힘이 있으면 문을 배운다(行有餘力 則以學文)"(<論語> 學而篇)는 말은 공자가 지식의 습득보다 실천을 중시함을 표현한다.
그의 교육사상은 인(仁)의 자각과 실천이라는 도덕철학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으며, 군자·성인과 같은 완전 인격의 소유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양철학연구회> 편엮
생각의 기원이란 무엇인가? 고찰하고 탐구하는 연구회 입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