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소설 시 671

이효석 단편소설 BEST 14 (메밀꽃 필 무렵, 돈, 수탉 외 11편)

이효석 | 유페이퍼 | 1,800원 구매
0 0 599 16 0 21 2016-10-12
이효석 단편소설 BEST 14 (메밀꽃 필 무렵, 돈, 수탉 외 11편) <목차: 14편 수록> 메밀꽃 필 무렵 북국사신 오후의 해조 오리온과 능금 프레류드 돈(豚) 독백 주리야 일기 수난 마음의 의장 계절 성화 수탉 이효석은 경성제일고보(현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과를 졸업하고, 1928년 《조선지광(朝鮮之光)》에 단편 《도시와 유령》이 발표됨으로써 동반자작가(同伴者作家)로 데뷔하였다. 계속해서 《행진곡(行進曲)》, 《기우(奇遇)》 등을 발표하면서 동반작가를 청산하고 구인회(九人會)에 참여, 《돈(豚)》, 《수탉》 등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이효석 단편소설 BEST 16 (메밀꽃 필 무렵, 분녀, 장미 병들다 외 13편)

이효석 | 유페이퍼 | 1,900원 구매
0 0 659 32 0 22 2016-10-12
이효석 단편소설 BEST 16 (메밀꽃 필 무렵, 분녀, 장미 병들다 외 13편) <목록: 16편 수록> 메밀꽃 필 무렵 산 들 분녀 장미 병들다 거리의 목가 해바라기 화분 향수 산정 황제 일표의 공능 여수 벽공무한 소복과 청자 낙엽기 이효석은 경성제일고보(현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과를 졸업하고, 1928년 《조선지광(朝鮮之光)》에 단편 《도시와 유령》이 발표됨으로써 동반자작가(同伴者作家)로 데뷔하였다. 계속해서 《행진곡(行進曲)》, 《기우(奇遇)》 등을 발표하면서 동반작가를 청산하고 구인회(九人會)에 참여, 《돈(豚)》, 《수탉》 등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이효석 단편소설 BEST 16 (메밀꽃 필 무렵, 공상구락부, 개발구 외 13편)

이효석 | 유페이퍼 | 1,900원 구매
0 0 471 18 0 28 2016-10-12
이효석 단편소설 BEST 16 (메밀꽃 필 무렵, 공상구락부, 개발구 외 13편) <목록: 16편 수록> 메밀꽃 필 무렵 개살구 막 공상구락부 부록 소라 라오코윈의 후예 가을의 산양 산협 풀닢 10월에 피는 능금꽃 사냥 하얼빈 서한 일요일 만보 이효석은 경성제일고보(현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과를 졸업하고, 1928년 《조선지광(朝鮮之光)》에 단편 《도시와 유령》이 발표됨으로써 동반자작가(同伴者作家)로 데뷔하였다. 계속해서 《행진곡(行進曲)》, 《기우(奇遇)》 등을 발표하면서 동반작가를 청산하고 구인회(九人會)에 참여, 《돈(豚)》, 《수탉》 등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이효석 단편소설 BEST 56 (메밀꽃 필 무렵, 분녀, 돈 외 53편)

이효석 | 유페이퍼 | 3,900원 구매
0 0 915 76 0 35 2016-10-12
이효석 단편소설 BEST 56 (메밀꽃 필 무렵, 분녀, 돈 외 53편) <목록: 56편 최다 수록> 메밀꽃 필 무+I2:I47렵 주리면... - 어떤 생활의 단편 도시와 유령 기우 행진곡 북국점경 노령근해 깨뜨려지는 홍등 상륙 추억 마작철학 약령기 인간산문 북국사신 오후의 해조 오리온과 능금 프레류드 돈(豚) 독백 주리야 일기 수난 마음의 의장 계절 성화 수탉 산 들 분녀 장미 병들다 거리의 목가 해바라기 화분 향수 산정 황제 일표의 공능 여수 벽공무한 소복과 청자 낙엽기 개살구 막 공상구락부 부록 소라 라오코윈의 후예 가을의 산양..

현진건 단편소설 BEST 23 (B사감과 러브레터, 운수 좋은 날, 술 권하는 사회 외 20편)

현진건 | 유페이퍼 | 2,300원 구매
0 0 688 29 0 114 2016-10-12
현진건 단편소설 BEST 23 (B사감과 러브레터, 운수 좋은 날, 술 권하는 사회 외 20편) <목록: 23편 수록> 희생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 유린(蹂躪) 피아노 지새는 안개 우편국에서 할머니의 죽음 까막잡기 그립은 흘긴 눈 발(簾) 운수 좋은 날 불 B사감과 러브레터 새빨간 웃음 고향 동정 사립 정신병원장 해 뜨는 지평선 신문지와 철장 정조와 약가 서투른 도적 현진건인 광무(光武) 4년(1900년) 8월 9일(양력 9월 2일) 대구부(大邱府)에서 현경운과 어머니 완산 이씨(完山 李氏) 정효(貞孝)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곳은 당시 대구부 명치정(明治町) 2정목(町目), 지금의 대구광역..

현진건 단편소설 BEST 12 (빈처, 까막잡이, 할머니의 죽음 외 9편)

현진건 | 유페이퍼 | 1,700원 구매
0 0 660 19 0 64 2016-10-12
현진건 단편소설 BEST 12 (빈처, 까막잡이, 할머니의 죽음 외 9편) <목록: 12편 수록> 운수 좋은 날 B사감과 러브레터 희생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 유린(蹂躪) 피아노 지새는 안개 우편국에서 할머니의 죽음 까막잡기 현진건인 광무(光武) 4년(1900년) 8월 9일(양력 9월 2일) 대구부(大邱府)에서 현경운과 어머니 완산 이씨(完山 李氏) 정효(貞孝)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곳은 당시 대구부 명치정(明治町) 2정목(町目),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2가의 속칭 '뽕나무골'이라 불리던 마을이었다. 어머니는 융희(隆熙) 4년(1910년) 6월 13일에 일찍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위로는 홍..

현진건 단편소설 BEST 13 (사립 병원장, 고향, 신문지와 철장 외 10편)

현진건 | 유페이퍼 | 1,700원 구매
0 0 618 16 0 57 2016-10-12
현진건 단편소설 BEST 13 (사립 병원장, 고향, 신문지와 철장 외 10편) <목록: 13편 수록> 운수 좋은 날 B사감과 러브레터 그립은 흘긴 눈 발(簾) 불 새빨간 웃음 고향 동정 사립 정신병원장 해 뜨는 지평선 신문지와 철장 정조와 약가 서투른 도적 현진건인 광무(光武) 4년(1900년) 8월 9일(양력 9월 2일) 대구부(大邱府)에서 현경운과 어머니 완산 이씨(完山 李氏) 정효(貞孝)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곳은 당시 대구부 명치정(明治町) 2정목(町目),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2가의 속칭 '뽕나무골'이라 불리던 마을이었다. 어머니는 융희(隆熙) 4년(1910년) 6월 13일에 일찍 세상을 떠..

김유정 단편소설 BEST 16 (금 따는 콩밭, 노다지, 만무방 외 13편)

김유정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0 0 762 18 0 95 2016-10-12
김유정 단편소설 BEST 16 (금 따는 콩밭, 노다지, 만무방 외 13편) <목록: 16편 수록> 봄봄 동백꽃 산골 나그네 총각과 맹꽁이 소낙비 금 따는 콩밭 노다지 금 떡 산골 만무방 솥, 솟 아내, 안해 심청 봄과 따라지 가을 한국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이다. 본관은 청풍이며, 아명은 멱설이이다. 주로 자신의 생활이나 주변 인물을 소재로한 소설을 섰다. 토속어와 비속어를 많이 쓰는 문체가 특징이다. 등단한 해에 김유정은 자신의 생에 대표작이라 불릴 작품 대부분을 발표하였다. 「금 따는 콩밭」 · 「금」 · 「떡」 · 「만무방」 · 「산골」 · 「솟」 · 「봄봄」 · 「안해」 등의 단편 10편과 ..

김유정 단편소설 BEST 16 (슬픈 이야기, 땡볕, 두포전 외 13편)

김유정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0 0 551 18 0 47 2016-10-12
김유정 단편소설 BEST 16 (슬픈 이야기, 땡볕, 두포전 외 13편) <목록: 16편 수록> 두꺼비 봄밤 이런 음악회 야앵 옥토끼 생의 반려 정조 슬픈 이야기 따라지 땡볕 연기 두포전 형 애기 봄봄 동백꽃 한국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이다. 본관은 청풍이며, 아명은 멱설이이다. 주로 자신의 생활이나 주변 인물을 소재로한 소설을 섰다. 토속어와 비속어를 많이 쓰는 문체가 특징이다. 등단한 해에 김유정은 자신의 생에 대표작이라 불릴 작품 대부분을 발표하였다. 「금 따는 콩밭」 · 「금」 · 「떡」 · 「만무방」 · 「산골」 · 「솟」 · 「봄봄」 · 「안해」 등의 단편 10편과 수필 3편이 그가 ..

김유정 단편소설 BEST 30 (봄봄, 동백꽃, 따라지 외 27편)

김유정 | 유페이퍼 | 2,500원 구매
0 0 916 33 0 152 2016-10-12
김유정 단편소설 BEST 30 (봄봄, 동백꽃, 따라지 외 27편) <목록: 30편 최다 수록> 봄봄 동백꽃 산골 나그네 총각과 맹꽁이 소낙비 금 따는 콩밭 노다지 금 떡 산골 만무방 솥, 솟 아내, 안해 심청 봄과 따라지 가을 두꺼비 봄밤 이런 음악회 야앵 옥토끼 생의 반려 정조 슬픈 이야기 따라지 땡볕 연기 두포전 형 애기 한국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이다. 본관은 청풍이며, 아명은 멱설이이다. 주로 자신의 생활이나 주변 인물을 소재로한 소설을 섰다. 토속어와 비속어를 많이 쓰는 문체가 특징이다. 등단한 해에 김유정은 자신의 생에 대표작이라 불릴 작품 대부분..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