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소설 시 671

김동인 역사소설 BEST 10 (왕자호동, 토끼의 간, 거타지의 꽃 외 7편)

김동인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0 0 460 13 0 31 2016-10-13
김동인 역사소설 BEST 10 (왕자호동, 토끼의 간, 거타지의 꽃 외 7편) [목록: 10편 수록] 왕자호동(王子好童) 석우노(昔于老)의 처(妻) 승암(僧庵)의 괴녀(怪女) 언약(言約) 토끼의 간(肝) 충용 삼형제(忠勇 三兄弟) 호미부 2제(虎美婦 二題) 눈 오는 대궐(大闕) 청해(淸海)의 객(客) 거타지(居陀知)의 꽃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금동(琴童), 금동인(琴童仁), 춘사(春士), 만덕(萬德), 시어딤이다. 1919년의 2.8 독립 선언과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이후 소설,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였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친일 전향 의혹이 있다. 해방 후에는 이광수..

김동인 역사소설 BEST 9 (개소문과 당 태종, 분토, 반야의 죽음 외 6편)

김동인 | 유페이퍼 | 1,700원 구매
0 0 605 12 0 47 2016-10-13
김동인 역사소설 BEST 9 (개소문과 당 태종, 분토, 반야의 죽음 외 6편) [목록: 9편 수록] 조신(調信)의 꿈 분토(糞土) 개소문(蓋蘇文)과 당 태종(唐太宗) 편주(片舟)의 가는 곳 거초(巨礎) 꺾일 때 반야(般若)의 죽음 식철수(食鐵獸)─항전(巷傳)에 의함 적분재상(赤墳宰相) 화하난문(花下亂舞)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금동(琴童), 금동인(琴童仁), 춘사(春士), 만덕(萬德), 시어딤이다. 1919년의 2.8 독립 선언과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이후 소설,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였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친일 전향 의혹이 있다. 해방 후에는 이광수를 제명하려는 문단..

김동인 역사소설 BEST 8 (깨어진 물동, 두문동록, 고달산 외 5편)

김동인 | 유페이퍼 | 1,500원 구매
0 0 545 11 0 42 2016-10-13
김동인 역사소설 BEST 8 (깨어진 물동, 두문동록, 고달산 외 5편) [목록: 8편 수록] 왕기(王氣)는 벋어서 고달산(高達山) 두문동록(杜門洞錄) 안 돌아오는 사자(使者) 광공자(狂公子) 양녕(讓寧)과 정향(丁香) 양(陽) 깨어진 물동이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금동(琴童), 금동인(琴童仁), 춘사(春士), 만덕(萬德), 시어딤이다. 1919년의 2.8 독립 선언과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이후 소설,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였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친일 전향 의혹이 있다. 해방 후에는 이광수를 제명하려는 문단과 갈등을 빚다가 1946년 우파 문인들을 규합하여 전조선문필가협회..

윤동주 수필집 -4편- (하늘과 별과 바람과 시, 서시 대표작품 시인)

윤동주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687 6 0 103 2016-10-10
윤동주 수필집 -4편- (하늘과 별과 바람과 시, 서시 대표작품 시인) 달을 쏘다 별똥 떨어진 데 종시 화원에 꽃이 핀다 북간도 명동촌(明東村) 출생. 본관은 파평(坡平). 아명은 해환(海煥). 아버지는 영석(尹永錫)이며, 어머니는 김룡(金龍). 기독교 장로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아우 일주(一柱)와 당숙 영춘(永春)도 시인이다. 14세(1931)에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대랍자(大拉子) 중국인 관립학교를 거쳐 이듬해 가족이 용정(龍井)으로 이사하자 용정 은진중학교(恩眞中學校)에 입학하였다. 1935년 평양 숭실중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나, 이듬해 신사참배 문제가 발생하여 문을 닫자 다시 용정으로 돌아가 광명학원(光明學院) 중학부에 편입,..

한국대표수필 21인 197편 (중고등학생이 꼭 읽어야할 필독서 : 수필)

이효석, 이광수, 김동인, 나도향, 현진건, 계용묵 외 15인 | 유페이퍼 | 4,500원 구매
0 0 884 220 0 108 2016-10-10
한국대표수필 21인 197편 (중고등학생이 꼭 읽어야할 필독서 : 수필) 내 인생에 단 한번! 수필을 만나다. 한국인이라면 꼭 읽어야할 베스트 21일 197편! 중고등생 교과서에 언급되는 수필 모음집! <21인 197편 수필> *이광수 수필 20편 *김동인 수필 5편 *이효석 수필 4편 *김유정 수필 2편 *나도향 수필 4편 *현진건 수필 18편 *계용묵 수필 35편 *최남선 수필 26편 *방정환 수필 5편 *홍난파 수필 31편 *이 상 수필 4편 *윤동주 수필 4편 *강경애 수필 23편 *김남천 수필 2편 *김사랑 수필 1편 *김상용 수필 4편 *나혜석 수필 3편 *노자영 수필 3편 *신채호 수필 1편 *이상화 수필..

홍난파 수필집 -31편- (애국가, 퐁당퐁당, 해바라기 대표작품 음악가)

홍난파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607 33 0 58 2016-10-10
홍난파 수필집 -31편- (애국가, 퐁당퐁당, 해바라기 대표작품 음악가) 살아가는 법 지휘자의 감명(感銘) 로렐라이의 유래 모과수 30통 첫 무대의 기억 캔사스 역의 봉변 세계에 오직 3인 벨리니의 비련 쌍둥이 바이올린 英雄 交響曲[영웅 교향곡] 키스의 벼락 쇼팽과 그의 연인〈초(抄)〉 〈카르멘〉작곡 비문(秘聞) 이탈리아 소녀 옛날의 적수(敵手) 가극왕 와그너 영광스런 봉욕(逢辱) 이별의 소야곡 월광곡 유모레스크 새로운 조선음악 이상한 보물 서울 계신 K형께 樂聖[악성] 戀史[연사] 시끄러운 세상 아름다운 상아(象牙) 작품 발표 연주에 대한 이승학씨의 평을 읽고 종아리 맞은 이야기 전쟁의 곡 리스트의 국제적 연애 ..

이상 수필집 -4편- (날개, 권태, 오감도 대표작품 소설가)

이상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824 6 0 234 2016-10-10
이상 수필집 -4편- (날개, 권태, 오감도 대표작품 소설가) -혈서삼태 (1934) -산촌여정 (1935) -서망률도 (1936) -행복 (1936) 1931년 처녀시 〈이상한 가역반응〉, 〈BOITEUX·BOITEUSE〉, 〈파편의 경치〉 등을 《조선과 건축》지에 발표했고 1932년 단편소설 《지도의 암실》을 '조선'에 발표하면서 비구(比久)라는 익명을 사용했으며, 시 〈건축무한육면각체〉를 발표하면서 ‘이상(李箱)’이라는 필명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1933년 3월 객혈로 총독부 건축기수직을 사임하고 백천온천으로 요양을 떠났다가 기생 금홍(본명 연심)을 만나게 되어, 후에 서울로 올라와 금홍과 함께 다방 '제비'를 운영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그는 폐..

방정환 수필집 -5편- (금도끼, 꼬부랑할머니, 만년 셔츠 대표작품 아동작가)

방정환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595 7 0 50 2016-10-10
방정환 수필집 -5편- (금도끼, 꼬부랑할머니, 만년 셔츠 대표작품 아동작가) 방정환(方定煥, 1899년 11월 9일 ~ 1931년 7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아동문화운동가, 어린이 교육인, 사회운동가이다. 공원정조 (1922년) 뭉게구름의 비밀 (1924년) 어린이 찬미 (1924년) 사라지지 않는 기억 (1925년) 없는 이의 행복 (1930년) 본관은 온양(溫陽), 호는 소파(小波)로 일본 유학 시절에 그에게 영향을 끼친 일본의 아동 문학가인 이와야 사자나미(岩谷小波)의 이름과 같다. 이외에도 잔물, 잔물결, 물망초, 몽견초, 몽견인, 삼산인, 북극성, 쌍S, 서삼득, 목성, 은파리, CWP, 길동무, 운정, 김파영, 파영, ..

소설 빵떡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소설: 이명선)

이명선 | 유페이퍼 | 3,000원 구매
0 0 597 8 0 32 2016-10-09
소설 빵떡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소설: 이명선) 이명선 작가 충북 괴산 출신으로 청주고보 졸업뒤 경성제대 중문과를 졸업(1940년)하고 휘문고 교사를 거쳐 서울대 중문과 조교수(1946~49)를 지냈다. 해방 직후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와 ‘조선문학동맹’에서 활동했다. 학내 이념 대립 와중에 좌익으로 규정돼 교수직을 그만두었다가 인공치하에서 대학에 복귀해 몇달간 ‘반짝 총장’을 지냈다.

민족개조론 : 이광수 (한국 계몽사관 개조론)

이광수 | 유페이퍼 | 900원 구매
0 0 657 3 0 115 2016-10-09
민족개조론 : 이광수 (한국 계몽사관 개조론) 그는 일찍이 나태하고 게으르며 무기력한 이 민족의 성격을 개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게으르고 무기력하며, 나약하며 공짜를 바라며, 허황되다, 요령과 술수에 능하다, 그리고 속임수와 눈가리기에 능하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었다. 이러한 습성으로는 서로간의 신뢰도 어렵지만,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는 것은 어렵다고 하였다. 일부 국민들의 의지만으로 독립이 달성되는 것은 아니며,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지 않고는 어느 나라도 조선의 독립을 도와주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1922년 잡지 《개벽》 5월호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자치운동론'을 내세워 이때부터 차츰 총독부로부터 타협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