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소설 시 671

윤기정 소설 전집 : 잊혀진 월북 작가 재조명 (사생아, 아씨와 안잠이 외 18작품)

윤기정 | 유페이퍼 | 2,500원 구매
0 0 815 22 0 45 2016-10-08
윤기정 소설 전집 : 잊혀진 월북 작가 재조명 (사생아, 아씨와 안잠이 외 18작품) 한성부 출신으로 보인학교에서 수학했다. 이 학교는 대한제국 군대 해산으로 해산된 군인들이 집결한 보인학회가 1908년에 설립한 애국계몽 계열의 사립 학교이다. 보인학교에 재학하면서 계몽운동에 뜻을 두게 되고, 임화와도 교유하였다. 10대 때부터 소설 습작을 시작하여, 1921년에 《조선일보》에 〈성탄의 추억〉을 발표하면서 소설가로 등단했다. 1922년에는 염군사에 가담하고 1924년에 서울청년회 소속으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창립을 주도했다. 카프 중앙위원과 서기장을 역임하였다. 1927년 방준경과의 아나키즘 논쟁에서 한설야와 함께 볼셰비즘 편에 서면서, 카프를 ..

안의 성 : 최찬식 신소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소설)

최찬식 | 유페이퍼 | 1,500원 구매
0 0 419 7 0 51 2016-10-08
안의 성 : 최찬식 신소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소설) 안의 성(雁―聲) (1912) 최찬식이 지은 신소설. <추월색>과 함께 그의 대표작. 내용은 지식층 남녀의 삼각관계를 소재로 자유로운 사랑 및 결혼을 주장하는 한편 기성사회의 권위인 계급제도 대신 새로운 지식과 돈의 힘을 새시대의 권위로 대치시킴으로써 봉건사회가 자본주의사회로 넘어가는 과정을 그리고, 애정에 대한 새로운 모럴을 제기했다.

운현궁의 봄 : 김동인 장편소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소설)

김동인 | 유페이퍼 | 2,500원 구매
0 0 308 27 0 36 2016-10-08
운현궁의 봄 : 김동인 장편소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소설) 운현궁의 봄》(雲峴宮―)은 1933년 발표된 김동인의 장편소설이다. 내용은 흥선대원군의 일생과 조선 말의 복잡한 내외정세와 풍운을 그린 역사소설이다. 작자의 민족의식을 나타낸 대표적인 장편이며, 흥선대원군의 지배계급의 억압과 착취로 고통받는 민중에 대한 연민과 그럼에도 그들을 도울 방법이 없음에 대한 좌절, 호령을 하면 누구도 도전하지 못하는 대장부로서의 기개등 그의 인간적인 모습들을 군더더기가 없는 담백한 문장으로 서술하였다. 1933년 4월 26일부터 1934년 2월 15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되었고, 그 뒤 1948년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1958년 〈동인전집〉1(정양사) ..
19세미만 구독불가

구한말 시대 : 19금 이야기 (민초의 야담, 풍자적 19금 이야기)

이명선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1,412 32 0 102 2016-10-09
구한말 시대 : 19금 이야기 (민초의 야담, 풍자적 19금 이야기) 황당하고 때론 유쾌하면서도...비극적인 19금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조선말 구한말~대한제국~일제강점기에 떠 돌아 다닌 풍자적 야담이 주제를 갖고 있다. (저작권 만료 작품 수록)

이광수 수필집 -20편- (근대 문학 3대 천재 작품)

이광수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656 22 0 64 2016-10-09
이광수 수필집 -20편- (근대 문학 3대 천재 작품)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독립신문을 발행했다. 1921년 귀국 후에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등의 언론에 칼럼과 장·단편 소설, 시 등을 발표하였다. 성전 삼 주년(聖戰三週年) 감사(感謝)와 사죄(謝罪)(1922년) 사랑(1924년) 어린 영혼(靈魂)(1924년) 연분(緣分, 1924년) 손가락(1924년) 잊음의 나라로(19..

김동인 수필집 -5편- (감자, 배따라기, 광염소나타 대표작품 소설가)

김동인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485 7 0 87 2016-10-09
김동인 수필집 -5편- (감자, 배따라기, 광염소나타 대표작품 소설가) 근대소설의 승리 (1934년) 감격과 긴장 (1942년) 일장기의 물결 (1944년) 속 망국인기 (1948년) 문단 30년의 자취 (1948년)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금동(琴童), 금동인(琴童仁), 춘사(春士), 만덕(萬德), 시어딤이다. 1919년의 2.8 독립 선언과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이후 소설,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였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친일 전향 의혹이 있다. 해방 후에는 이광수를 제명하려는 문단과 갈등을 빚다가 1946년 우파 문인들을 규합하여 전조선문필가협회를 결성하였다. 생애 후반에는 불면..

이효석 수필집 -4편- (메밀꽃 필 무렵, 분녀, 돈 대표작품 소설가)

이효석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467 6 0 67 2016-10-09
이효석 수필집 -4편- (메밀꽃 필 무렵, 분녀, 돈 대표작품 소설가) 낙엽을 태우면서 마음에 남는 풍경 문운융성의 변 (1939년) 문학과 국민성 (1942년) 이효석은 경성제일고보(현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과를 졸업하고, 1928년 《조선지광(朝鮮之光)》에 단편 《도시와 유령》이 발표됨으로써 동반자작가(同伴者作家)로 데뷔하였다. 계속해서 《행진곡(行進曲)》, 《기우(奇遇)》 등을 발표하면서 동반작가를 청산하고 구인회(九人會)에 참여, 《돈(豚)》, 《수탉》 등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김유정 수필집 -2편- (봄봄, 동백꽃, 땡볕 대표작품 소설가)

김유정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648 4 0 46 2016-10-09
김유정 수필집 -2편- (봄봄, 동백꽃, 땡볕 대표작품 소설가) 1. 잎이 푸르러 가시던 님이 2. 밤이 조금만 짧았다면 한국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이다. 본관은 청풍이며, 아명은 멱설이이다. 주로 자신의 생활이나 주변 인물을 소재로한 소설을 섰다. 토속어와 비속어를 많이 쓰는 문체가 특징이다. 등단한 해에 김유정은 자신의 생에 대표작이라 불릴 작품 대부분을 발표하였다. 「금 따는 콩밭」 · 「금」 · 「떡」 · 「만무방」 · 「산골」 · 「솟」 · 「봄봄」 · 「안해」 등의 단편 10편과 수필 3편이 그가 등단한 바로 그 해에 쏟아져 나왔는데, 춘천에서 보고 느꼈던 고향의 정취와 농민들의 곤궁한 생활, 그 자신의 개인적인 불행에서 체험한 감상 등..

나도향 수필집 -4편- (뽕, 물레방아, 벙어리 삼룡이 대표작품 소설가)

나도향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403 6 0 46 2016-10-09
나도향 수필집 -4편- (뽕, 물레방아, 벙어리 삼룡이 대표작품 소설가) 1. 그믐달 2. 별호 3. 지난 일년의 알쏭달쏭 수놓은 돗자리 4. 유행 나도향 (羅稻香) (1902년 3월 30일 한성부 ~ 1926년 8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의 한국 소설가이다. 본명은 나경손(慶孫)이며 필명은 나빈(彬)이다. 한성부 용산방 청파계(현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동)에서 출생하였으며, 배재학당을 졸업하고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중퇴한 뒤 일본에 건너가 고학으로 공부하였다. 1922년 《백조》의 창간호에 소설 《젊은이의 시절》을 발표하여 문단에 등장하였다. 이상화, 현진건, 박종화 등과 함께 백조파라는 낭만파를 이루었다. 이듬해 동아일보에 장편 《환희》를 연재..

현진건 수필집 -18편- (운수 좋은 날, B사감과 러브레터 대표작품 소설가)

현진건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635 20 0 61 2016-10-09
현진건 수필집 -18편- (운수 좋은 날, B사감과 러브레터 대표작품 소설가) 현진건인 광무(光武) 4년(1900년) 8월 9일(양력 9월 2일) 대구부(大邱府)에서 현경운과 어머니 완산 이씨(完山 李氏) 정효(貞孝)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거리에서 만난 여자 고도순시 경주 교섭없던 그림자 꿈에 본 신악양루기 단군성적순례 도야지와 진주 목도리의 복면 몽롱한 기억 물꽃 돗는대로 별건곤은 대중의 잡지 사상의 로만쓰 장주와 프랑스 첫 기고의 회상 홍도화식 미인 결혼제도 없는 사회 설때의 유쾌한 나흘때의 고통 신년 신계획 이러쿵 저러쿵 그가 태어난 곳은 당시 대구부 명치정(明治町) 2정목(町目),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