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소설 시 671

최서해 대표단편소설 22선

최서해 | 유페이퍼 | 2,500원 구매
0 0 498 24 0 30 2016-05-06
<최서해 대표단편소설 22선> * 소설가: 최서해 본명은 학송(鶴松), 아호는 서해(曙海)·설봉(雪峰) 또는 풍년(豊年). 함경북도 성진 출생. 소작농의 외아들로 출생한 그는 1910년 아버지가 간도 지방으로 떠나자 어머니의 손에서 유년시절과 소년시절을 보내었다. 유년시절 한문을 배우고 성진보통학교에 3년 정도 재학한 것 외에 이렇다 할 학교교육은 받지 못하였다. 소년시절을 빈궁 속에 지내면서 ≪청춘 靑春≫·≪학지광 學之光≫ 등을 사다가 읽으면서 문학에 눈을 떴고, 그때부터 이광수(李光洙)의 글을 읽으면서 사숙(私淑)하기 시작하였다. <출처 및 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영랑 대표 시.산문 작품집 90선

김영랑 | 유페이퍼 | 3,000원 구매
0 0 1,113 92 0 23 2016-05-03
<김영랑 대표 시/산문 작품집 90선> * 김영랑 시인 본명은 김윤식(金允植). 전남 강진(康津) 출생. 휘문(徽文) 고등 보통 학교를 마친 후 일본에 유학, 도쿄의 아오야마[靑山] 학원 전문부를 마쳤다. 1930년에 박용철ㆍ정지용과 함께 《시문학(詩文學)》을 발간, 1936년 4월 《영랑시집(永郎詩集)》을 출간했다. 유미파적(唯美派的)인 입장의 서정시를 썼으나, 해방 후 정치적인 혼란에 대한 비관에서 시 《대체 내 노래는 어디로 갔느냐》ㆍ《한 줌 흙》을 통하여 과거의 자신의 시를 포기 내지 수정, 뒤에는 민족주의적인 입장에서 정치적인 의미가 있는 작품을 발표했다. 공보처 출판 국장이 되었으나, 6ㆍ25 전쟁 중 포탄 파편의 화를 입어 사망했다. <출처 ..

한용운 대표 시.산문 전집 268선

한용운 | 유페이퍼 | 10,200원 구매
0 0 698 14 0 12 2016-03-11
<한용운> 대표 시.산문 전집 268선 현 도서는 "원본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음운은 독해되어 있으나, 한시의 역작을 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그외 <님의 침묵>시집의 내용을 담았으며, 산문, 수필 등 독립운동가, 시인 등 승려로써의 불교사상과 시대상을 역설적으로 표현되고 함축된 시가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268 대표 작품을 전자책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가나다 순"으로 목차를 구성하였다. * 주요 작품 가지 마셔요,거문고 탈 때,계월향(桂月香)에게,고대(苦待),고적한 밤,그를 보내며,금강산(金剛山),길이 막혀,꽃싸움,꽃이 먼저 알아,꿈 깨고서,나의 꿈,낙원(樂園)은 가시덤불에서,논개의 애인이 되어서 그의 묘(廟)에,눈물,님의 손길,님의 ..

<한용운> 대표 시.산문집

한용운 | 유페이퍼 | 9,900원 구매
0 0 948 14 0 5 2016-03-11
<한용운> 대표 시.산문집 그러나 그외 <님의 침묵>시집의 내용을 담았으며, 산문, 수필 등 독립운동가, 시인 등 승려로써의 불교사상과 시대상을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함축된 시를 잘 보여주고 있다. * 주요 작품 가지 마셔요,거문고 탈 때,계월향(桂月香)에게,고대(苦待),고적한 밤,그를 보내며,금강산(金剛山),길이 막혀,꽃싸움,꽃이 먼저 알아,꿈 깨고서,나의 꿈,낙원(樂園)은 가시덤불에서,논개의 애인이 되어서 그의 묘(廟)에,눈물,님의 손길,님의 얼굴,당신 가신 때,당신을 보았습니다,당신의 마음,두견새,떠날 때의 님의 얼굴,만족(滿足),반비례(反比例),버리지 아니하면,복종(服從),사랑을 사랑하여요,사랑의 끝판,사랑의 불,수(繡)의 비밀,신사(神師)의 설법(說法..

김소월 대표 시.산문집 256선

김소월 | 유페이퍼 | 9,900원 구매
0 0 1,143 15 0 13 2016-03-07
<김소월 대표시.산문집 256선> * 김소월 시인의 최다 시 및 산문 모음집! * 도서는 초판본의 의미를 살기위해서 옛말체를 그대로 사용했다. 전자책에서 옛말의 폰트가 수용되지 않아서 옮긴이의 표기법을 수정했으며 저자의 작품을 의미를 전달코자 최대한 의미에 가깝게 노력하였다. * 국내 최다 수록을 위해서 "목차" 구성을 <가나다 순>으로 모음집을 만들었다. 수록된 256개의 시와 산문을 만날 수 있다. * 주요 작품 목록 가는 길,가는 봄 삼월,가막덤불,가시나무,가을,강촌,개아미,개여울,거친 풀 흐트러진 모래동으로,건강한 잠,고락(苦樂),고적(孤寂)한 날,고향,공원의 밤,구름,구면(舊面),그 사람에게,그리워,금 잔디,기분전환(氣分轉換),기억,기..

윤동주 대표 시∙산문집 117선

윤동주 | 유페이퍼 | 2,500원 구매
0 0 1,006 118 0 45 2016-02-05
* 윤동주 시인. 북간도 명동촌(明東村) 출생. 본관은 파평(坡平). 아명은 해환(海煥). 아버지는 영석(尹永錫)이며, 어머니는 김룡(金龍). 기독교 장로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아우 일주(一柱)와 당숙 영춘(永春)도 시인이다. 14세(1931)에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대랍자(大拉子) 중국인 관립학교를 거쳐 이듬해 가족이 용정(龍井)으로 이사하자 용정 은진중학교(恩眞中學校)에 입학하였다. 1935년 평양 숭실중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나, 이듬해 신사참배 문제가 발생하여 문을 닫자 다시 용정으로 돌아가 광명학원(光明學院) 중학부에 편입, 졸업하였다. 1941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이듬해 일본으로 건너가 릿쿄대학(立敎大學) 영문과에 입학하였고, 같은..

현진건 대표단편소설 28선

현진건 | 유페이퍼 | 3,500원 구매
0 0 900 31 0 44 2015-11-16
현진건[玄鎭健] 출생 - 사망 1900. 8. 9. ~ 1943. 4. 25. 호는 빙허(憑虛). 1900년 8월 9일(음력) 대구 출생. 서당에서 한문을 수학하다가, 1912년 일본의 세이조중학(成城中學)에 입학하여 1917년에 졸업하였다. 이에 앞서 1915년에 이상화‧백기만‧이상백 등과 함께 동인지 『거화(巨火)』를 발간했다. 1918년 상해에 있는 둘째 형 정건(鼎健)을 찾아가 호강대학에서 수학하였다. 1921년 조선일보사에 입사한 것을 계기로 『동명』, 『시대일보』를 거쳐, 1936년 일장기말소사건으로 1년간 투옥될 때까지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였다. 1943년 4월 25일 사망하였다. 1920년 『개벽』에 단편 「희생화」를 발표하여 혹평을 들..

상록수 - 심훈 [현대문학장편소설]

심훈 | 유페이퍼 | 2,500원 구매
0 0 667 2 0 37 2015-10-19
심훈(본명: 심대섭): 독립운동가, 소설가 * 출생~사망: 1901년 9월 12일 ~ 1936년 9월 16일 * 경력: - 1933.08 조선중앙일보 학예부 부장 - 1931 경성방송국 문예담당 - 1928 ~ 1931 조선일보 기자 - 1924 ~ 1926 동아일보 사회부 기자 * 학력: - 지강대학교 - 경성고등보통학교 중퇴 * 수상 - 2000 건국훈장 애국장

무정 - 이광수 [현대문학장편소설]

이광수 | 유페이퍼 | 3,000원 구매
0 0 680 2 0 45 2015-10-21
호 춘원(春園). 평안북도 정주(定州) 출생. 소작농 가정에 태어나 11세인 1902년 콜레라로 부모를 여의고 고아가 된 후 동학(東學)에 들어가 서기(書記)가 되었으나 관헌의 탄압이 심해지자 1904년 상경하였다. 이듬해 친일단체 일진회(一進會)의 추천으로 유학생에 선발되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대성중학을 다니며 만난 홍명희, 문일평과 함께 소년회(少年會)를 조직하고 회람지 《소년》을 발행하는 한편 시와 평론 등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흙 - 이광수 [현대문학장편소설]

이광수 | 유페이퍼 | 3,000원 구매
0 0 566 2 0 36 2015-10-21
호 춘원(春園). 평안북도 정주(定州) 출생. 소작농 가정에 태어나 11세인 1902년 콜레라로 부모를 여의고 고아가 된 후 동학(東學)에 들어가 서기(書記)가 되었으나 관헌의 탄압이 심해지자 1904년 상경하였다. 이듬해 친일단체 일진회(一進會)의 추천으로 유학생에 선발되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대성중학을 다니며 만난 홍명희, 문일평과 함께 소년회(少年會)를 조직하고 회람지 《소년》을 발행하는 한편 시와 평론 등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