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소설 시 671

재생 (이광수 장편소설)

이광수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907 4 0 38 2016-07-06
재생 (이광수 장편소설) 호 춘원(春園). 평안북도 정주(定州) 출생. 소작농 가정에 태어나 11세인 1902년 콜레라로 부모를 여의고 고아가 된 후 동학(東學)에 들어가 서기(書記)가 되었으나 관헌의 탄압이 심해지자 1904년 상경하였다. 이듬해 친일단체 일진회(一進會)의 추천으로 유학생에 선발되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대성중학을 다니며 만난 홍명희, 문일평과 함께 소년회(少年會)를 조직하고 회람지 《소년》을 발행하는 한편 시와 평론 등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

무영탑 (현진건 장편소설)

현진건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569 11 0 57 2016-07-06
무영탑 (현진건 장편소설) 1938년 7월 20일부터 이듬해 2월 7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하였던 현진건의 장편 역사소설이다. 《무영탑》의 내용은 불국사에 있는 석가탑(일명무영탑)에 얽혀 있는 석수장이 아사달과 그 아내인 아사녀의 애달픈 설화를 다룬 것이다. 가히 신라의 예술의 정화라고 할 석가탑을 이룩하는 한 예술가의 예술에 대한 집념과 이성간에 얽힌 사랑을 다루었다.

선화공주 (현진건 장편소설)

현진건 | 유페이퍼 | 1,500원 구매
0 0 556 7 0 30 2016-07-06
선화공주 (현진건 장편소설) 선화공주(善花公主, ? ~ ?)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이자, 백제 무왕의 왕후이다. 미륵사지 석탑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에 의하면 백제 무왕의 왕후는 사택왕후로 기록되었기에 그 실존 여부에 관한 논란이 있다. 팔월 한가위 , 축시에 기운 달은 그 의젓하고 밝은 얼굴을 안압지(雁鴨池) 물속에 뉘엿뉘엿 잠그었다. 어지럽게 반공에 떠돌던 삼죽(三竹) 삼현(三絃) 박판(拍板) 대고(大鼓)가 어우러진 줄풍류 소리도 스러지고 구슬처럼 물 얼굴을 스쳐 가던 청아하고도 구슬픈「회소곡」도 끊인 지 오래다. 임해전(臨海殿) 밤 잔치도 거의거의 끝이 난 모양이었다. 육부의 처녀를 모아 두 패로 갈라 놓고 칠월 보름부터 팔..

흑치상지 (현진건 장편소설)

현진건 | 유페이퍼 | 1,500원 구매
0 0 736 10 0 40 2016-07-06
흑치상지 (현진건 장편소설) 흑치상지(黑齒常之, 630년 ~ 689년)는 백제의 의자왕 때 달솔을 지낸 백제 · 당나라의 무장이다. 660년부터 663년까지 3년간 백제 부흥운동을 이끌었으나 부흥운동의 실패가 확실해지자 당나라에 항복하고 투항했다. 1929년 중국 낙양(洛陽)에서 아들 준(俊)의 것과 함께 출토된 그의 묘지명에 따르면, 흑치상지는 원래 백제의 왕족으로서 흑치 지방에 봉해졌기 때문에 흑치씨가 되었다고 한다. 증조부의 이름은 문대(文大), 조부는 덕현(德顯), 아버지는 사차(沙次)이며, 흑치상지의 어릴 적 이름은 항원(恒元)이었다. 《신당서》및 《삼국사기》에 입전된 그의 열전에서는 의자왕 때 벼슬은 달솔로서 풍달군(風達郡)의 군장(郡將)을 겸하고 있..

적도 (현진건 장편소설)

현진건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892 24 0 61 2016-07-06
적도 (현진건 장편소설) 서울의 봄은 눈 속에서 온다. 남산의 푸르던 소나무는 가지가 휘도록 철겨운 눈덩이를 안고 함박꽃이 피었다. 달아나는 자동차와 전차들도 새로운 흰 지붕을 이었다. 아스팔트 다진 길바닥. 펑퍼짐한 빌딩 꼭지에 시포(屍布)가 널렸다. 가라앉은 초가집은 무거운 떡가루 짐을 진 채 그대로 찌그러질 듯하다. 푹 꺼진 개와골엔 흰 반석이 디디고 누른다. 삐쭉한 전신주도 그 멋갈없이 큰 키에 잘 먹지도 않은 분을 올렸다. 이 별안간에 지은 흰 세상을 노래하는 듯이 바람이 인다. 은가루 옥가루를 휘날리며 어지러운 흰 소리는 무리무리 덩치덩치 흥에 겨운 잦은 춤을 추어 제친다. 길이길이 제 세상을 누릴 듯이. 그러나 보라! 이 사품에도 봄 입김..

진달래꽃 (김소월 시집)

김소월 | 유페이퍼 | 3,000원 구매
0 0 1,002 18 0 19 2016-07-04
진달래꽃 (김소월 시집) * 시인: 김소월 * 저서(작품):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 진달래꽃, 개여울, 강촌, 왕십리, 산유화 1. 님에게 먼 후일 풀 따기 바다 산 위에 옛이야기 님의 노래 실제 1 님의 말씀 님에게 마른강 두덕에서 봄 밤 봄 밤 밤 꿈꾼 그 옛날 꿈으로 오는 한 사람 2. 두 사람 눈 오는 저녁 자주 구름 두 사람 닭소리 못 잊어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자나 깨나 앉으나 서나 해가 산마루에 저물어도 3. 무주공산 꿈 1 맘 켕기는 날 하늘 끝 개아미 제비 부헝새 만리성 수아 4. 한때 한때 담배 실제 2 어버이 부모 후살이 잊었던 맘 봄비 비단안개..

이춘풍전 (한국문학 고전소설 다시 읽기 2)

작자미상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735 4 0 100 2016-06-27
이춘풍 전 (한국문학 고전소설 다시 읽기 2) 《이춘풍전》(李春風傳)은 판소리계 소설이다. 이제, 다시! 우리가 문학을 만나야할 시간! 한국문학 청소년 필독서 고전소설 다시 읽기 시리즈 판소리로 불렸다는 기록은 없으나, 문체나 사설 면에서 판소리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판소리계 소설이다. 여러 종의 이본이 있으나, 시기가 앞서면서도 내용이 풍부한 서울대 가람문고본을 원본으로 했다. <이춘풍전>은 조선 시대 말기에 이루어진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구성 방식, 서술 시점, 공식적 표현구, 문체 및 서사 진행 투어 등에서 판소리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상품경제의 발달과 자본의 발달 등 근대화 이행기에 놓인 당대의 세태를 ..

칠칠단의 비밀 (소파 방정환: 한국 추리 탐정소설)

소파 방정환 (아동문학가)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744 35 0 134 2016-07-01
칠칠단의 비밀 (소파 방정환: 한국 추리 탐정소설) <77단의 비밀> 줄거리 장편 소년모험 소설. 사회의 불의와 싸우는 씩씩한 소년들의 모험 이야기. 일본인 단장의 어느 서커스단에 상호와 순자 오누이가 있었는데, 정체 모를 노인의 도움으로 상호는 탈출하는 데 성공한다. 그리고 계교를 부려 붙들려 있는 순자도 구출하여 만주 땅으로 도망을 간다. 그러나 상호 오누이를 잡으려는 일본인 단장의 마수는 만주 땅에까지 뻗혀 온다. 그런데 이 곡마단이야말로 무서운 죄악을 저지르는 77단이란 비밀단체의 앞잡이였다. 상호와 순자는 이 무서운 범죄단체에 잡힌 몸이 되나 용기를 잃지 않고, 그 마굴을 벗어날 뿐 아니라, 마침내 중국경찰에 알려 모두 체포할 뿐더러, 어렸을 때 헤어..

방정환 단편 소설.수필 모음집

소파 방정환 (아동문학가)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638 19 0 79 2016-07-01
<방정환 단편 소설.수필 모음집> 1. 소설 -이상한 샘물 -나비의 꿈 -금도끼 -4월 그믐날 밤 -선물 아닌 선물 -시골쥐 서울 구경 -욕심쟁이 땅차지 -호랑이 형님 -만년 셔츠 -꼬부랑할머니 2. 수필 -공원정조 -뭉게구름의 비밀 -어린이 찬미 -사라지지 않는 기억 -없는 이의 행복 방정환(方定煥, 1899년 11월 9일 ~ 1931년 7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아동문화운동가, 어린이 교육인, 사회운동가이다. 본관은 온양(溫陽), 호는 소파(小波)로 일본 유학 시절에 그에게 영향을 끼친 일본의 아동 문학가인 이와야 사자나미(岩谷小波)의 이름과 같다. 이외에도 잔물, 잔물결, 물망초,..

상록수 (심훈 장편소설)

심훈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521 19 0 51 2016-07-04
상록수 (심훈 장편소설) 《상록수》(常綠樹)는 작가 심훈이 1935년에 발표한 장편 소설이다. 동아일보 창간 15주년을 기념하는 장편 소설 공모에 1등으로 당선된 작품으로, 동아일보에 1935년 9월 19일부터 ~ 1936년 2월 15일까지 연재되어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대한민국 중학교 7차 국어교과서 2학년에 일부 수록되어 있다, <주요 등장인물> -채영신 : 감리교 전도사 최용신을 모델로 하였다. 지식인은 자기가 아니라 민중을 위해 살아야 한다는 믿음을 농민운동으로 실천하다가 몸이 병약해져서 젊은 나이에 죽는다. 박동혁과 더불어 민중들과 연대한 참된 지식인들을 상징한다. -박동혁 : 고등농림을 다니다가 고향에서 농민운동을 한다. -백현경 : 당시 돈으..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